더운 날씨에 에어컨 사용이 늘면서 "에어컨을 계속 켜둘까, 껐다 켤까?"라는 고민은 여름철 모두의 큰 관심사인 것 같습니다.
인버터 에어컨을 사용하면서 하루종일 켜놓고 사용하는 경험과 하루 전력 사용량까지 공유드립니다.
인버터형 vs 정속형: 우리 집 에어컨은 어떤 타입일까요?
에어컨은 실외기 작동 방식에 따라 크게 '정속형'과 '인버터형'으로 나뉩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을 이해하는 것이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의 핵심이랍니다.
정속형 에어컨
: 실외기 팬이 항상 같은 속도로 작동하여 실내 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완전히 멈추고, 다시 온도가 오르면 최대로 가동하는 방식입니다. 구형 에어컨에 해당하며, 껐다 켰다 할 때 전력 소모가 커집니다.
인버터형 에어컨
: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된 '신형 에어컨'입니다.
실내 온도가 목표치에 도달하면 실외기 작동 속도를 자동으로 낮춰 최소한의 전력으로 온도를 유지합니다.
실외기 전력 소비가 에어컨 전체 소비의 90~95%를 차지하는데, 인버터형은 실외기 팬 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
인버터 에어컨, 껐다 켰다 vs 계속 켜두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인버터형 에어컨은 짧은 시간 외출 시에는 계속 켜두는 것이 전력 소모량 절감에 유리합니다.
한국전력 또한 인버터형 에어컨의 경우 "껐다 켰다를 자주 하는 단속 운전보다 냉방 희망 온도를 고정한 후 연속 운전하는 것이 사용량 절감에 유리하다"고 밝혔습니다 .
왜 그럴까요? 인버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목표치까지 낮춘 후에는 최소한의 전력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반면, 에어컨을 껐다가 다시 켜면 높아진 실내 온도를 다시 목표 온도까지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됩니다 .
삼성전자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90분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 90분 이상 외출: 에어컨을 끄는 것이 전력 소비량이 감소합니다.
- 90분 이하 외출: 에어컨을 켜두는 것이 전력 소비량 절감에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30분 외출 시 에어컨을 껐다 켜면 연속 운전 대비 전력 소비량이 5% 증가했고, 60분 외출 시에는 2% 증가했다고 합니다 .
반면, 정속형 에어컨이라면 계속 켜두기보다는 설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2시간가량 가동을 멈춰주는 것이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속형 에어컨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작동을 멈추고 온도가 오르면 다시 최대 출력으로 가동되기 때문입니다 .
오해와 진실: 제습 모드가 더 절약될까?
"냉방 대신 제습 모드를 사용하면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는 이야기도 많이 들리는데요,
실제로는 냉방이나 제습 모드 간의 전력 소모량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시험 결과에서도 냉방 모드와 제습 모드의 소비전력량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24℃ 냉방으로 5시간 가동했을 때 평균 1.782kWh, 24℃ 제습으로 가동했을 때 평균 1.878kWh를 기록했습니다 .
두 모드의 가장 큰 차이는 목적에 있습니다.
냉방은 온도를 낮추는 것이 주 목적이고, 제습은 습도를 낮추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따라서 실내 온도가 높아 빠르게 온도를 내리고 싶다면 냉방 모드를, 습도를 낮춰 쾌적도를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면 제습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을 위한 추가 팁!
- 적정 온도 유지: 한국전력 실험 결과, 24℃로 냉방할 때보다 26℃로 설정하면 전력 사용량이 0.7배 줄어든다고 합니다 .
- 선풍기나 에어 서큘레이터 활용: 에어컨과 함께 사용하면 차가운 공기 순환을 도와 냉방 효율을 높이고, 설정 온도를 높여도 시원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소비자원 조사에서는 에어컨과 서큘레이터를 동시 사용 시 냉방 시간이 평균 26초(약 6.3%) 빨라졌다고 해요 .
- 필터 청소: 에어컨 먼지 필터를 깨끗하게 관리하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 적정 면적의 에어컨 선택: 공간에 비해 작은 용량의 에어컨을 사용하면 오히려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냉방 효과가 떨어져 에어컨이 계속 가동되어 에너지 소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설치 공간의 면적보다 냉방 면적이 3~4평 더 큰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
저는 인버터 에어컨을 사용중이고, 7월 내내 켜두고 생활을 했습니다,
에어컨 리모콘으로 확인가능한 에어컨 사용 전력량은 하루 평균 5~7kWh 정도였습니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온열질환 환자들도 늘어가는 상황에 쾌적한 실내 온도를 꾸준히 유지하면서도 하루 5~7kwh 사용한다면
더운 여름 기간만은 사용할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적인 환경마다 의견마다 다르겠지만요. 저희가 사용하는 에어컨은 오래된 제품으로 작은 평수일때 부터 사용하던 거라 실 거주 평수 대비 매우 작은 용량의 에어컨을 사용해서 전력량이더 많이 나왔을 수도 있습니다.
이제 에어컨 사용에 대한 궁금증이 좀 해소되셨을까요? 올여름도 현명하고 시원하게 보내시기를 응원하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민생회복 채무조정 신청방법, 민생회복 2막 (1) | 2025.07.31 |
---|---|
가족 간 계좌이체 증여세 부과? 루머와 사실 구분하기 (2) | 2025.07.31 |
민생회복지원금 취약계층 신청방법 꿀팁 '찾아가는 서비스' (1) | 2025.07.30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사용방법 (0) | 2025.07.30 |
으뜸효율가전 환급신청 (1)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