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4월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건에 대해, 정부 조사 결과 SKT의 귀책 사유가 인정됨에 따라 역대급 규모의 보상안이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약금 전액 면제
- 대상: 해킹 사고(2025년 4월 18일 24시 기준) 이후 해지한 고객 및 2025년 7월 14일까지 해지 예정인 고객
- 내용: 남은 약정 기간과 무관하게 통신 서비스 약정 위약금 전액 면제
단, 단말기 할부금은 면제 대상이 아님 - 신청 방법: SKT 고객센터(114), 공식 홈페이지, 전국 대리점 방문
- 필요 서류: 신분증, 해지 신청서 등
2. 8월 통신요금 50% 할인
- 대상: 2025년 7월 15일 0시 기준 SKT 및 SKT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MVNO) 전체 가입자 약 2,400만 명
- 내용: 2025년 8월 한 달간 통신요금 50% 자동 할인(별도 신청 불필요)
- 규모: 약 5,000억 원 상당의 고객 감사 패키지
3. 추가 데이터 및 멤버십 혜택
- 추가 데이터 제공: 2025년 8월~12월까지 매월 50GB 추가 데이터 지급
- 멤버십 할인: 8월부터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도미노피자 등 제휴사에서 T멤버십 50% 이상 할인 제공(신청 필요)
4. 정보보호 및 피해 방지 대책
- 1년간 무료 모바일 보안 솔루션(Zimperium) 제공: 모든 SKT 가입자 대상, 하반기 중 도입 예정
-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제도 도입: 유심 복제 등 2차 피해 발생 시 외부기관과 함께 보상 프로세스 지원
- 사이버 보험 한도 확대: 기존 10억 원 → 1,000억 원으로 상향
- 정보보호 강화: 향후 5년간 7,000억 원 투자 계획
5. 기타 보상 및 지원
- 무료 유심 교체 서비스
- 신용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1년 무료 제공
- 명의도용 등 2차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
- 전담 고객센터 운영 및 피해 신고 접수
6. 집단소송 및 추가 배상 논의
- 여러 법무법인에서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며, 정신적 피해 등 추가 배상 요구 가능성 존재
- 개인정보보호법 및 통신비밀보호법 강화 논의도 진행 중
7. 보상 신청 시 유의사항
- 위약금 면제 신청은 7월 14일까지 반드시 완료
- 단말기 할부금은 면제 대상 아님
- 해킹 사고 이후 발생한 이상 징후, 피해 내역 등 기록 보관 권장
- 피해 입증 자료(통장 내역, 신용카드 내역 등) 준비
보상안 요약 표
구분 | 주요 내용 | 비고 |
위약금 면제 | 약정 해지 고객 위약금 전액 면제 | 단말기 할부금 제외 |
통신요금 할인 | 8월 한 달 50% 할인 | 전체 가입자 대상 |
추가 데이터 | 8월~12월 매월 50GB 추가 제공 | |
멤버십 할인 | 주요 제휴사 50% 이상 할인 | 신청 필요 |
보안 서비스 | 1년간 무료 모바일 보안 솔루션 제공 | 하반기 도입 |
피해보상 | 2차 피해 발생 시 전액 보상, 신용정보 모니터링 | |
정보보호 투자 | 5년간 7,000억 원 |
이번 SKT 해킹 사건 보상안은 위약금 면제, 통신요금 대폭 할인, 추가 데이터 제공, 정보보호 투자 등 전례 없는 규모로, 피해자 보호와 신뢰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반응형